OpenCV 최신 버젼 (v3.2.0) 를 설치 해 보겠습니다. 플랫을 사용하지 않으실 분들은 아래 링크의 내용을 참고 해 주세요.
준비물
설치1. 'OpenCV+' 템플릿을 선택 합니다.OpenCV+는 OpenCV 템플릿에 X와 원격데스크탑 연결을 위한 xrdp, 그리고 윈도우 메니져인 jwm이 추가된 템플릿입니다. 우리는 VideoCapture 클레스를 사용 해서 웹캠으로 부터 받은 영상을 직접 사용할 계획이기 때문에 이 탬플릿을 선택 하고 있습니다. ![]() 2. 아래 설정화면에서 기본정보를 넣어 주세요. 여기서 중요한 것은 'RDP (root) Password'란에 넣는 암호입니다. 윈도우즈의 원격데스크탑(RDC)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만들어질 OpenCV+ 컨테이너에 접속 하는데, 이 때 사용하게 될 사용자 (아이디) 'root'의 암호가 여기에 넣는 문자열이 됩니다. (처음 설치시 약 400MB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만큼의 시간이 소요 됩니다.) ![]() 3. 컨테이너가 만들어지면 더 이상 추가 작업은 없습니다. 활용1. 그럼 이제 원격데스크탑을 사용해서 접속 해 보겠습니다.사용하시는 RPI의 IP를 다음과 같이 넣어 주시고 연결 합니다. ![]() 2. 이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, 이 전 단계에서 입력했던 암호를 여기 넣어 줍니다. ![]() 3. 몇초가 지나면 jwm 윈도우메니져 실행이 완료 될 것입니다. jwm을 선택한 이유는 리소스를 최소로 사용하면서도 누구나 사용할수 있을 만한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. OpenCV가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는 만큼 이런 부분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![]() (자료 출처: 'Making linux run lightweight with desktop' - thebot.net) 4. 좌측 위에 터미널창이 하나 나오고 '/data' (기본) 폴더에 몇가지 샘플 코드를 넣어 두었는데, 바로 직접 얼국인식 프로그램을 구동 시켜 보겠습니다. 다음과 같이 입력 하고 실행 시킵니다: python face_seeker.py ![]() 5. 사용하시는 웹캠의 기종에 따라 속도나 에러 유무등이 다른데,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아래와 같이 비디오창이 나옵니다. 곧이어 프로그램이 얼굴(들)을 찾아 아래와 같이 녹색 상자로 표시하기 시작 할 것입니다. ![]() 설치 확인이 모두 끝났습니다. 수고 하셨습니다. 구글에서 'opencv [하고자 하는 작업]'을 키워드로 찾아 보시면 수많은 자료가 나옵니다. 각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 변경과 프로그램 추가 설치 등을 하시면 됩니다. 잘못되서 처음으로 돌아 가고 싶을때는 위에서 했던 작업을 반복해서 다시 하면 그만입니다. 두번째 부터는 탬플릿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이 사라지므로 새 컨테이너 생성에 10초가 채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. 그럼 즐거운 OpenCV 해킹 되세요~ 관련자료: |
Using flat >